한때 제주도는 공기 깨끗한 섬이라는 이미지로 많은 사람들의 힐링 여행지로 각광받았습니다. 한라산에서 불어오는 신선한 바람과 푸른 바다와 숲에서 나는 향기, 맑고 깨끗한 하늘. 저 역시 여러 번 제주도를 찾을 때마다 내륙과 공기가 다르다는 걸 느꼈고 여긴 정말 다르다는 생각을 하곤 했습니다. 하지만 최근 몇 년 사이 제주도 역시 초미세먼지의 영향에서 완전히 자유롭지 않다는 보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제주도의 현실, 바람의 방향과의 연관성, 미세먼지 발생 요인, 대응 노력에 대해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1. 제주도의 현실
제주도는 그동안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세먼지 수치가 낮았던 건 사실입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에어코리아 누리집에서 초미세먼지 농도가 높음으로 나타나는 날이 증가하고 있으며 대기질이 나빠진 날도 꽤 많아졌습니다. 특히 봄철에는 중국발 황사와 국내외 오염 물질이 편서풍을 타고 유입되면서 제주도의 하늘도 뿌옇게 변하는 날이 잦아졌습니다. 몇 해 전 3월 말 가족들과 제주도에 여행을 갔던 날이 기억납니다. 기대하던 바다와 한라산 풍경이 뿌연 하늘에 가려 제대로 보이지 않았고 아이가 눈이 아프다고 말하던 순간 제주도에서도 초미세먼지가 문제가 될 수 있다는 걸 처음 실감했습니다. 그때 이후로는 제주도 여행 일정에 미세먼지 예보를 반드시 확인하게 되었고 마스크도 꼭 챙기게 되었습니다.
2. 바람의 방향과의 연관성
제주의 대기질은 바람의 방향에 매우 민감합니다. 대륙에서 불어오는 바람은 종종 미세먼지를 함께 실어오며 특히 중국과 한반도 내륙 지역의 대기 오염이 심한 날엔 제주도 역시 영향을 받습니다. 반면 남쪽이나 동쪽에서 바람이 불어올 때는 상대적으로 공기가 맑고 깨끗한 날이 많습니다. 따라서 제주도민이나 여행객 모두 실시간 대기정보와 바람 방향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는 제주도에 지인이 한 분 계신데 그분은 바람의 방향에 따라 빨래를 말리는 위치나 외출 시간을 조절하신다고 하였습니다. 들을 땐 조금 놀라웠지만 실제로 초미세먼지 수치와 바람 방향이 상당히 일치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나서는 저도 날씨 앱을 볼 때 바람 아이콘을 자세히 들여다보게 됐습니다. 작은 정보 하나에도 생활의 질이 달라질 수 있음을 느꼈습니다.
3. 제주도 내 미세먼지 발생 요인
제주도는 관광객의 증가와 함께 차량 수가 급격히 늘어난 지역입니다. 특히 관광지의 접근성이 좋지 않아서 대중교통보다는 렌터카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렌터카가 도로의 큰 비중을 차지하면서 도심과 공항 주변 도로의 교통량은 수도권 못지않게 복잡해졌습니다. 이에 따라 자동차 배기가스로 인한 미세먼지의 지역 내 발생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공항에서 시내까지 이동할 때나 교차로에서 차량이 정체될 때마다 매캐한 냄새를 느낄 때가 있었습니다. 제주도까지 와서 이 냄새를 맡게 될 줄은 몰랐던지라 살짝 실망도 했습니다. 물론 제주도의 자연은 여전히 아름답고 다른 도시보단 공기 질이 좋은 편이지만 교통량 증가와 같은 도시화의 영향이 느껴질 땐 조금 씁쓸한 마음도 들었습니다.
4. 대응 노력
청정 환경을 지키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입니다. 예를 들어, 전기차 보급률을 전국에서 가장 빠르게 늘리고 있으며 도시숲 조성 사업과 대중교통 개편도 함께 진행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행정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만큼 우리 스스로의 실천도 병행되어야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제주도 여행 시 대중교통 이용을 더 자주 하려 노력하고 있고 그게 안 된다면 여행사 단체투어를 이용하기도 합니다. 때로는 실내 활동 중심의 일정을 짜기도 합니다. 특히 초미세먼지 예보가 나쁜 날에는 외부 관광지를 최소화하거나 공기청정기가 잘 갖춰진 숙소를 찾기도 합니다. 제주도민들도 실내 공기질 관리를 위해 공기청정기를 사용하고 필터 점검에 신경을 많이 쓰는 편이라고 들었습니다.
결론
한때 제주도는 늘 공기가 맑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것은 점점 현실과 거리가 생기고 있습니다. 초미세먼지는 더 이상 수도권이나 대도시만의 문제가 아니라 바다 건너 섬까지 영향을 미치는 복합적인 환경 문제로 자리 잡았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주도는 여전히 자연이 살아 숨 쉬는 공간이며 우리가 올바르게 대응한다면 그 청정함을 되살릴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한 곳입니다. 저는 앞으로도 제주를 찾을 때 아름다운 풍경만큼이나 맑은 공기를 지키는 데에도 관심을 가질 생각입니다. 우리가 함께 노력하면 제주도의 하늘은 다시 맑게 웃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